[로이슈 전여송 기자] 롯데케미칼이 2024년 연결기준 ▲ 매출액 20조 4,304억 원, ▲ 영업손실 8,948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발표했다.
롯데케미칼 2024년 4분기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3.2%, 전년 동기 대비 1.6% 개선되었다.
기초소재사업(롯데케미칼 기초소재, LC 타이탄, LC USA, 롯데GS화학)은 매출액 3조 3,078억 원, 영업손실 1,750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8.8% 감소했으나, 자회사 간이보수 등 일회성 요인 제거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 규모는 축소되었다. 향후 환율 강세 및 원료가, 운임비 하향 안정화가 예상됨에 따라 점진적인 실적 회복이 기대된다.
첨단소재사업은 매출액 1조 944억 원, 영업이익 297억 원을 기록했다. 연말 비수기 진입에 따른 판매량 감소 및 스프레드 축소 영향으로 수익성이 소폭 감소했으나, 향후 판매량 회복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전망된다.
롯데정밀화학은 매출액 4,286억 원, 영업이익 122억 원을 기록했다.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건축용, 페인트용 첨가제 등 그린소재 제품의 수요가 소폭 감소하였으나, 염소/암모니아계 제품의 판매량 확대로 실적이 개선되었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매출액 1,864억 원, 영업손실 401억 원을 기록했다. 최근 전기차 성장세 둔화 및 화학 업황 악화 영향으로 수익성이 감소했다, 금년 하반기부터는 주요 고객사의 본격적 가동률 회복과 북미 OEM 등 신규 고객사 공급을 통해 판매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케미칼은 “글로벌 공급과잉 및 경기침체로 수요회복이 지연되는 등 석유화학 사업 전반의 다운사이클의 깊이와 회복 시점의 불확실성이 지속 중이다”며 “이러한 대외환경 속에서 2024년 매출은 전년대비 2.4% 증가하였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적자폭이 확대되었다. 다만 순이익은 손상차손 등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었고 이는 회계상 인식되는 손실일 뿐 실제 현금 유출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롯데 화학군 계열사의 본원적 사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각 사별 혁신 활동을 담당할 전담조직을 구축하고 성과중심의 과제 발굴 및 실천을 통해 수익성을 제고하고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켜 나갈 예정이다.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도 지속한다. 다양한 방법을 통한 안정적인 자금조달을 진행하고, 투자계획 경우 전년 대비 1조원 이상 축소하여 집행, 신규 투자는 보수적 관점에서 재검토하며 EBITDA 내에서의 투자 관리를 진행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결산배당으로 보통주 1주당 1,00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하고 해당 배당은 오는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작년 7월에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중간배당으로 주당 배당금 1,000원을 지급한 바 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롯데케미칼, 지난해 영업손실 8948억원..."사업경쟁력 확보 집중"
기사입력:2025-02-07 23:37:2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21.92 | ▼14.83 |
코스닥 | 742.90 | ▲2.58 |
코스피200 | 333.89 | ▼2.6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445,000 | ▲552,000 |
비트코인캐시 | 499,600 | ▲2,600 |
비트코인골드 | 4,321 | ▼52 |
이더리움 | 4,080,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140 | ▲130 |
리플 | 3,773 | ▲43 |
이오스 | 940 | ▲5 |
퀀텀 | 4,615 | ▲3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516,000 | ▲486,000 |
이더리움 | 4,084,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180 | ▲110 |
메탈 | 1,425 | ▲9 |
리스크 | 1,112 | ▲6 |
리플 | 3,771 | ▲39 |
에이다 | 1,085 | ▲7 |
스팀 | 26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9,510,000 | ▲520,000 |
비트코인캐시 | 497,800 | ▲1,200 |
비트코인골드 | 3,990 | ▼80 |
이더리움 | 4,085,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1,080 | ▲30 |
리플 | 3,774 | ▲41 |
퀀텀 | 4,630 | ▲11 |
이오타 | 352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