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똑똑한 고분자 복합재를 활용해 냉난방 에너지 소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돼 주목된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전북대학교 김건우 교수 연구팀이 주변 온도에 따라 열방사율을 스스로 조절하는 고분자 복합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열방사율이란 물체의 표면에서 방출이 가능한 열복사 에너지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우리나라 냉난방 에너지 소비는 전체 에너지 소비의 40%에 달할 정도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은 미흡한 상황이다.
에너지 사용없이 표면 냉각이 가능한 복사냉각 기술이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이 현상 역시 냉각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불필요한 냉각이 이뤄진다는 단점이 있어 한계가 있었다.
복사냉각이란 대기의 창 영역인 8-12μm 파장 영역에 열방사율이 좋은 소재를 활용해 쉽게 복사열을 우주로 방출시키는 현상이다. 복사냉각 기술이 적용된 소재는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도 냉각이 이루어져 표면 온도를 더욱 떨어뜨린다는 단점이 있다.
기술의 보완을 위해 다양한 온도의 환경에 감응하는 새로운 복사냉각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진전은 없는 상황이다.
이에 연구팀은 고온에서 열방사율을 높이고 저온에서는 낮추는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상전이 소재를 활용, 스스로 열방사율을 조절하는 똑똑한 고분자 복합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상전이 소재는 고온에서는 금속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열방사율이 낮고, 저온에서는 세라믹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열방사율이 높다. 목표의 성질과는 반대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를 역으로 활용할 방안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상전이 소재를 나노 입자화하여 특정 열방사율을 가지는 고분자 내에 분산시켰다. 상전이 입자가 금속의 성질을 가질 때 산란되는 원적외선을 고분자가 대신 흡수하게 하여 열방사율을 높이는 방법을 고안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고분자 복합재의 열방사율은 섭씨 70도에서 15%의 변화율을 보였다. 그리고 개발된 고분자 복합재로 덮여있는 방열체는 외부 온도에 상관없이 내부 온도를 섭씨 70도로 유지시켜 주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의 성과에 대해 김건우 교수는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 복합재로 표면을 이루게 되면 외부 온도와 상관없이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냉난방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며 “배터리처럼 온도에 민감한 제품에 활용하면 일정한 온도 유지가 가능해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 나노미래소재원천사업과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재료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컴포지트 파트 비 엔지니어링(Composite Part B Engineering)’에 1월 31일 온라인 게재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국내 연구진, 주변 온도 따라 열방사율 스스로 조절하는 고분자 복합재 개발
기사입력:2025-02-17 18:29:5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54.58 | ▲0.52 |
코스닥 | 774.65 | ▲6.38 |
코스피200 | 351.92 | ▼0.23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2,315,000 | ▲13,000 |
비트코인캐시 | 474,100 | ▲100 |
비트코인골드 | 6,450 | ▼325 |
이더리움 | 4,080,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30 | ▼110 |
리플 | 3,796 | ▼12 |
이오스 | 948 | 0 |
퀀텀 | 4,510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2,400,000 | ▲98,000 |
이더리움 | 4,082,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50 | ▼70 |
메탈 | 1,449 | ▼3 |
리스크 | 1,133 | ▼6 |
리플 | 3,798 | ▼14 |
에이다 | 1,142 | ▼6 |
스팀 | 253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2,290,000 | ▲20,000 |
비트코인캐시 | 474,600 | ▲800 |
비트코인골드 | 4,100 | 0 |
이더리움 | 4,084,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00 | ▼180 |
리플 | 3,797 | ▼14 |
퀀텀 | 4,495 | ▼37 |
이오타 | 333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