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한방병원, 만성턱관절질환에 대한 자하거 약침 경제성 평가

기사입력:2025-02-20 22:56:50
[로이슈 전여송 기자]
만성턱관절질환은 단순히 턱관절 통증을 넘어 말하거나 음식을 먹는 기본적인 활동이 제한되거나 스트레스 등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해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킨다. 특히 우리나라 한해 턱관절질환 환자 수가 50만명에 육박하는 등 유병률도 높아 이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비용 역시 높은 편이다.

이에 최근 만성턱관절질환에 대한 한방치료의 비용 효과성을 평가한 논문이 발표돼 눈길이다. 그간 한방치료의 턱관절질환 효과성을 규명한 연구는 다수 존재했지만, 치료 경제성을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자생한방병원(병원장 이진호) 김두리 임상연구센터 원장 연구팀은 자하거 약침의 경제성을 분석한 연구 논문을 SCI(E)급 국제학술지 '구강재건저널(Journal of Oral Rehabilitation(IF=3.1))'에 게재했다고 20일 밝혔다.

턱관절질환은 저작근 및 그 주변조직의 구조적·기능적 문제로 통증, 개구장애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해당 질환에는 온열요법, 경피적 전기신경 자극(TENS) 등의 물리치료가 주로 활용되며, 한방에서는 침·약침과 추나요법 등 한의통합치료가 시행된다.

특히 약침치료는 침과 한약의 원리를 결합한 치료법으로, 경혈점에 한약 성분을 주입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한다. 그중 자하거 약침은 태반(자하거) 추출물을 희석·정제해 주입하는 치료법으로, 항산화·항염· 신경재생 효과가 있어 턱관절질환 호전에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

이번 연구는 편측 또는 양측 턱관절 통증이 3개월 이상 지속된 만성턱관절질환 환자 8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 참가자는 약침치료군과 물리치료군으로 나눠 각각 5주간 주 2회, 총 10회 치료를 받았다. 환자들의 시각통증척도(VAS; 0~100)는 치료 전 물리치료군이 평균 58.9, 약침치료군이 59.2로 중증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고 있었고, 물리치료군은 TENS, 약침치료군은 자하거 약침치료를 동일한 빈도로 처치했다.

이후 연구팀은 26주간의 추적 관찰을 통해 환자들의 의료비용뿐만 아니라 업무능력 저하, 일상생활에서의 장애, 결근 등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까지 비교·분석해 경제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 자하거 약침치료는 물리치료 대비 질보정수명(QALY, Quality-Adjusted Life Year)이 높고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이 낮아 더 경제적인 치료법으로 나타났다. QALY는 삶의 질과 수명을 동시에 고려하는 개념으로, 완벽한 건강상태는 1, 죽음은 0을 뜻한다. 추적 관찰 후 약침치료군의 QALY 값은 0.853, 물리치료군은 0.838로 약침치료군이 앞섰다.

또한 턱관절질환으로 인해 발생한 모든 비용을 분석한 결과, 약침치료군이 물리치료군 대비 사회적 관점에서 1인당 약 408만 8830원 적은 비용이 소요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회적 관점에서의 비용은 턱관절질환으로 인한 결근, 업무효율 저하 등 생산성 손실 비용까지 모두 포함한 금액이다.

의료이용에 관련된 비용만을 계산한 보건의료관점에서도, 자하거약침이 물리치료보다 치료비용 자체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점증적 비용 효과비(ICER, Incremental Cost-Effectiveness Ratio)가 약 845만 7930원으로 양호한 값을 보였다. 여기에 1 QALY를 얻기 위한 지불의사금액(Willingness to pay, WTP)을 약 3050만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턱관절질환 치료에 있어 약침치료가 물리치료 대비 비용효과적일 확률은 99% 이상이었다.

자생한방병원 김두리 임상연구센터 원장은 “이번 연구는 만성턱관절질환에 대한 자하거 약침치료가 경제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는 점을 입증한 최초의 논문"이라며 “향후 보건의료 정책 및 치료법 연구에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54.58 ▲0.52
코스닥 774.65 ▲6.38
코스피200 351.92 ▼0.23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0,522,000 ▲28,000
비트코인캐시 477,000 ▼100
비트코인골드 6,030 ▲70
이더리움 4,093,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30,120 ▼110
리플 3,763 ▼8
이오스 933 ▼2
퀀텀 4,344 ▼1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0,487,000 ▼111,000
이더리움 4,091,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30,090 ▼130
메탈 1,413 ▲1
리스크 1,119 ▲2
리플 3,759 ▼15
에이다 1,121 ▼6
스팀 25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0,450,000 ▼120,000
비트코인캐시 476,900 ▼600
비트코인골드 3,930 ▼140
이더리움 4,095,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30,080 ▼160
리플 3,760 ▼14
퀀텀 4,353 0
이오타 329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