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 현장의 갈등 중재자, '대화 경찰'...정작 그들을 위한 제도 부족

[심층연구분석] "소음・폭언 노출, 인력 부족"… 대화경찰의 근무 환경에 따른 정책적 지원 필요 기사입력:2025-02-23 20:10:34
고성이 난무하는 집회 현장, 팽팽한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누군가는 확성기를 들고 외치고, 누군가는 굳은 표정으로 맞섭니다. 혼란스런 틈바구니에서 날 선 대립을 녹이려 조용히 움직이는 이들이 있습니다. 바로 '대화 경찰'입니다.

'대화 경찰'은 2015년, 백남기 농민 사건 이후 인권 보호와 평화적 집회 관리를 위해 도입됐습니다. '대화 경찰'은 집회 현장에서 갈등 중재, 정보 수집, 안전 확보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보이지 않는 곳에서 땀 흘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노고 뒤에는 묵묵히 감내해야 할 어려움들이 숨겨져 있습니다.

이태린(순천향대학교) 교수와 장재호(경찰인재개발원) 연구원은 "대화 경찰이 집회 현장에서 중요한 중재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열악한 환경, 빈번한 갈등 상황, 인력 부족 등 심각한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연구논문을 통해 주장합니다.

본 글에서는 이태린 교수와 장재호 연구원이 진행한 <대화경찰의 직무 환경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집회·시위 현장에서 대화 경찰이 직면한 다양한 어려움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인권 보호와 평화적 집회 관리를 위해 도입된 '대화 경찰'은 집회 현장에서 갈등을 중재하고 안전을 확보하지만, 열악한 근무 환경과 인력 부족으로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 / 이미지 출처='대한민국 경찰청' 유튜브 영상 이미지 리디자인.

인권 보호와 평화적 집회 관리를 위해 도입된 '대화 경찰'은 집회 현장에서 갈등을 중재하고 안전을 확보하지만, 열악한 근무 환경과 인력 부족으로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 / 이미지 출처='대한민국 경찰청' 유튜브 영상 이미지 리디자인.

이미지 확대보기
'대화 경찰'이란?

대화 경찰은 경찰과 시민 간의 민주적인 소통을 강화하고, 집회·시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도입됐다. 2015년 11월, 백남기 농민이 경찰이 쏜 물대포에 맞아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경찰청은 집회·시위 현장에서 인권 보호와 안전 강화를 목표로 대화경찰관을 투입했다.

대화경찰 제도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집회·시위 현장에서 집회 참가자, 시민, 경찰 간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안전하고 평화적인 집회를 유도하는 것.
둘째, 집회·시위의 자유와 인권을 보장하는 것이다.

한국형 대화경찰 제도는 2018년 10월 도입돼 올해로 7년 차를 맞이했다. 2020년 6월 기준, 전국의 대화경찰관은 총 1,603명(정보 부서 1,137명, 경찰관기동대 247명, 비정보 부서 219명)으로 구성돼 있다.

■ 무엇을 발견했나?

1. '대화경찰'은 집회 현장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을까?

이태린(순천향대학교) 교수와 장재호(경찰인재개발원)의 연구는 대화경찰관 27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해 그들이 겪는 직무상의 어려움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대화경찰이 겪는 어려움을 크게 (1) 집회·시위 현장이 주는 신체적·정서적 부담과 (2) 직무 수행 과정에서 겪는 구조적 문제로 파악했다.

이 두 가지 현상에 영향을 주는 직접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① 현장의 열악한 물리적 환경
② 집회 참가자와의 갈등

구체적으로, 열악한 물리적 환경에는 대형 스피커와 주최 측 마이크 소리에서 나오는 소음에 장시간 노출되며 청각적 피로가 누적된다는 점이다. 장시간 야외 근무를 해야 하지만 휴식 공간과 휴식 시간이 턱없이 부족해 체력적 한계가 있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더불어 집회 참가자들이 대화경찰을 무시하는 태도로 응대하거나 폭언·욕설을 일삼는 경우가 많다는 점, 집회 현장에서 폭행이 오가는 상황을 중재하다가 신체적 위협을 받는 경우도 발생한다는 점이 있었다.

직무 수행 과정에서 겪는 구조적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① 조직 내 의사소통의 부재
② 노조 관계자와 의사소통 어려움
③ 직무 수행의 혼란
④ 인력 부족

집회 참가자가 수용이 불가능한 주장을 할 경우, 상급 부서에서는 마땅한 해결책 없이 대화경찰에게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조 및 집회 참가자들은 필요할 때만 대화경찰과 연락하고, 정작 경찰 측에서 연락이 필요할 때는 응답하지 않는 일이 빈번하며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대화경찰관은 하루에 여러 건의 집회를 출동해야 하거나, 혼자서 다수의 집회를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등 무리한 업무를 지시받는 경우도 있었다. 대규모 집회에서도 충분한 인력이 배치되지 않아 업무 부담이 가중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들은 결국 대화경찰관들의 정신건강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 대화경찰들은 불면증, 신변에 대한 불안과 긴장, 상사로부터의 스트레스 등을 호소했다. 일부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술·담배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2. 대화경찰관들은 어떻게 스트레스를 해소할까?

대화경찰관들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었다.

일부 경찰관들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운동을 하거나 직무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전문 상담을 받거나, 동료들과 터놓고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경찰 상담을 받거나 명상이나 운동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찾고, 집회 참가자와 효과적으로 대화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 교육에 참여하는 이들도 있었다.

하지만 일부는 소극적인 대처방법을 택하기도 했다. 자신이 했던 행동에 대해 후회하거나 자책할 때가 있는가 하면 그냥 참고 감수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등 감정 회피를 하는 이들도 있었고, 업무 외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하는 대인관계 회피성 대처도 있었다.

연구의 가장 중요한 시사점은?

연구진은 대화경찰관이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대책을 제시했다.

(1) 소음 문제 해결: 집회 주최 측과 사전 협의를 통해 소음 관련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2) 대화경찰의 갈등 관리 역량 강화: 집회 참가자와의 소통 방법, 집회 참가자 유형별 대화 방식, 갈등 해결 방법 등을 포함한 전문 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교육을 받은 대화경찰들은 집회 참가자가 대화를 거부하거나 경찰에게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는 입장을 이해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었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교육이 대화경찰관들의 실무 역량 강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3) 정신 건강 관리 프로그램 운영: 경찰 교육기관에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대화경찰관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정신 건강 검사 및 상담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업무 특성을 이해하는 전문 상담사와의 상담만으로 위로가 된다는 응답이 있었으며, 동료들과 직무에 대한 고민을 나누면서 관점을 전환할 수 있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4) 충분한 인력 배치 및 휴식 보장: 대규모 집회에서는 충분한 인력을 배치해 업무 부담을 줄이고, 업무 중 적절한 휴식 시간과 공간을 반드시 제공해 체력적 소진을 방지해야 한다.

대화경찰, 더 나은 근무 환경을 위한 정책

대화경찰관은 집회·시위 현장에서 중요한 중재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겪는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

본 연구를 진행한 이태린(순천향대학교) 교수와 장재호(경찰인재개발원)은 대화경찰관들의 근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대화경찰의 역할이 원활히 수행되려면 적절한 교육과 지원이 마련돼야 한다. 이를 통해 시민과 경찰 간의 신뢰를 높이고, 평화적인 집회·시위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

▶ 기사 연구 논문
이태린(순천향대학교)·장재호(경찰인재개발원), 2024, <대화경찰의 직무 환경에 관한 연구: 대화경찰관의 인식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경찰학회보, 26(5), 217-246.

김지연(Jee Yearn Kim) Ph.D.

독립 연구자로 미국 신시내티 대학교 형사정책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범죄 행위의 심리학(Psychology of Criminal Conduct), 범죄자 분류 위험 평가(Offender Class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효과적인 교정개입의 원칙(Principles of Effective Intervention), 형사사법 실무자의 직장내 스트레스 요인, 인력 유지 조직행동(Workplace Stressors, Retention, and Organizational Behavior of Criminal Justice Practitioners), 스토킹 범죄자 개입 방법(Stalking Offenders and Interventions)이다.


김지연 형사정책학 박사 cjdr.kim@gmail.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54.58 ▲0.52
코스닥 774.65 ▲6.38
코스피200 351.92 ▼0.23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0,315,000 ▼21,000
비트코인캐시 476,500 ▲476,500
비트코인골드 6,000 ▼665
이더리움 4,091,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30,140 ▼180
리플 3,709 ▼40
이오스 935 ▲935
퀀텀 4,384 ▲4,38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0,800,000 ▲250,000
이더리움 4,132,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30,300 ▼60
메탈 1,413 ▼2
리스크 1,124 ▼4
리플 3,746 ▼16
에이다 1,125 ▼3
스팀 25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0,63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477,800 0
비트코인골드 4,010 ▼160
이더리움 4,126,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30,250 0
리플 3,748 ▼13
퀀텀 4,415 0
이오타 332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