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이슈] 쎌바이오텍 듀오락, 30주년 감사제 ‘걸어온 길이 다른 유산균’ 실시 外

기사입력:2025-03-05 09:35:46
[로이슈 편도욱 기자] 듀오락(DUOLAC)이 창립 30주년을 맞아 진행했던 감사제에 대한 고객들의 뜨거운 성원에 힘입어, 추가 프로모션 ‘걸어온 길이 다른 유산균’을 실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감사제는 오랜 시간 고객들의 신뢰 속에서 성장해 온 듀오락이 그동안 받은 사랑에 보답하고, 더 많은 소비자가 CBT 유산균을 체험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듀오락을 전개하는 쎌바이오텍은 1995년 설립된 1세대 바이오 기업으로, 국내 최초로 유산균 대량 생산에 성공하며 유산균 국산화를 이뤄냈다. 30년간 연구개발과 기술 혁신을 지속하며, ‘美 FDA GRAS 세계 최다 등재’, ‘11년 연속 세계 수출 1위’, ‘세계일류상품 선정’ 등 K-유산균의 위상을 높여왔다. 특히, 유산균 본고장인 덴마크에서 시장점유율 2위를 기록하고, 전 세계 55개국에 수출하는 등 CBT 유산균의 우수성과 안전성을 전 세계에서 입증하고 있다. 최근에는 CBT 유산균을 활용한 대장암 혁신 신약 ‘PP-P8’의 임상 1상을 개시하며 바이오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프로모션은 오는 3월 20일까지 진행되며, CBT 유산균이 함유된 안전한 유산균 브랜드 ‘듀오락(DUOLAC)’, 흡수율을 높인 영양제 브랜드 ‘듀오랩(DUOLAB), 마이크로바이옴 스킨케어 브랜드 ‘락토클리어(LACTOClear)’까지 다양한 제품을 최대 74% 할인된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대표 할인 및 증정 제품으로는 ▲신생아 첫 유산균 ‘듀오락 듀오 디-드롭스’ ▲이유식기 아이를 위한 ‘듀오락 베이비’ ▲성장기 어린이 3중 케어 ‘듀오락 얌얌플러스’ ▲온 가족 함께 섭취하는 ‘듀오락 바이오 가드’ ▲30년 프리미엄 베스트셀러 ‘듀오락 골드 하루 한 포’ 등 생애주기 맞춤형 제품들이 포함된다. 이외에도 프리미엄 유산균 듀오락을 처음 접하는 신규 회원들을 위해 ‘여행 든든팩’, ‘맘&키즈팩’ 등 디스커버리 체험팩을 최대 74%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한다.

◆에이블리, 꽃샘추위에도 봄옷 수요 급증

평년 대비 낮은 기온 지속됐던 2월에 이어, 3월 초부터 눈 소식과 함께 체감 온도가 영하권으로 떨어지는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에이블리코퍼레이션(대표 강석훈)이 운영하는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에이블리는 쌀쌀한 날씨에도 봄옷 수요가 급증하며 ‘보호시크(Boho Chic) 룩’이 올봄 패션 트렌드로 부상했다고 5일 밝혔다.

최근 2주간(2월 17일~3월 2일) 에이블리 내 ‘봄옷’ 검색량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115%) 증가했으며, ‘봄 아우터’(90%), ‘봄 블라우스’(75%), ‘봄 가디건’(55%) 등 ‘봄’이 포함된 패션 상품을 검색하는 이들이 크게 늘었다. 여전히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곧 다가오는 계절을 맞아, 시즌 관련 키워드를 직접 검색하며 봄맞이 옷장을 채우는 이들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동기간 에이블리 검색 및 판매 데이터 분석 결과, 상의부터 하의, 신발까지 보호시크 룩이 올봄 패션 트렌드로 떠올랐다. 보호시크(Bohemian+chic) 룩이란, 1970년대를 연상시키는 자유분방한 감성의 ‘보헤미안’과 세련된 스타일을 뜻하는 ‘시크’의 합성어다. 유독 강추위가 지속됐던 겨울이 가고 옷차림이 가벼워지는 계절을 맞아, 자유분방한 감성으로 개성을 강조하면서도 오피스룩, 개강룩 등 다양한 외출복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심플함이 공존하는 패션이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베이, 2024년 한국 신규 셀러 수 50% 이상 증가

글로벌 커머스 플랫폼 이베이(eBay)는 2024년 한국 신규 판매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50%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한국 신규 판매자들의 매출(GMV)도 지난해 대비 60% 이상 성장했다.

강달러 현상이 지속되면서 해외시장 매력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불황으로 인한 소비 침체, 인구 감소 등 변화가 이어지면서 해외로 판로 확장을 꾀하는 중소 기업, 개인 판매자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2024년 이베이 한국 셀러 매출 TOP3 카테고리도 공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 음악 관련 상품, 스킨케어 순으로 나타났는데, 리셀 등 중고 거래가 활발한 이베이 플랫폼 특성과 K뷰티, K팝 인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한 카테고리는 자동차 부품으로 나타났다. 한국 자동차가 글로벌 수출 호조를 기록하고 있는데다 공임료가 비싸 비용절감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부품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리서치 전문 기관 S&P 글로벌 모빌리티에 따르면 미국 차량 평균 연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관련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위는 음악 관련 상품이 차지했는데 K팝 아티스트 앨범, 굿즈 등이 다양하게 거래되었다. 외국 팬층이 두터운 드림캐처의 미개봉 앨범이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스트레이 키즈의 동물 캐릭터 SKZOO(스키주) 팝업 스토어 ‘스키주의 마법 학교’, BTS의 ‘모노크롬’, 에이티즈의 공식 캐릭터 애니티즈 팝업 스토어 ‘애니티즈 인 일루전’ 등 국내에서 한정적으로 진행된 이벤트 상품들이 해외 팬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1.12 ▼76.86
코스닥 672.85 ▼20.91
코스피200 332.40 ▼10.5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4,071,000 ▲708,000
비트코인캐시 452,800 ▲2,600
이더리움 2,743,000 ▲22,000
이더리움클래식 25,130 ▲190
리플 3,152 ▲32
이오스 935 ▲4
퀀텀 2,864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4,100,000 ▼151,000
이더리움 2,742,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60
메탈 1,046 ▼7
리스크 764 ▼2
리플 3,146 ▼10
에이다 979 ▲2
스팀 19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4,190,000 ▲850,000
비트코인캐시 453,700 ▲3,100
이더리움 2,741,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5,070 ▲130
리플 3,152 ▲35
퀀텀 2,887 0
이오타 254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