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이슈] 컨샐러드 ‘AI 기반 게임 제작 솔루션 개발’을 위한 산학 협력 업무협약 체결 外

기사입력:2025-03-05 16:54:03
[로이슈 편도욱 기자] 모바일 게임 개발 스타트업 컨샐러드(CONSALAD INC, 대표 강세윤)는 동아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 연구실과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게임 제작 솔루션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생성형 AI 기반 게임 제작 솔루션을 공동으로 개발하며, 산학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컨샐러드는 동아대학교와 협력하여 ▲게임 및 제조 등 지역 특화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이미지 생성 AI 기술 개발 ▲이미지 생성 AI 분야의 지역 인재 양성 및 인턴십·취업 연계 ▲실무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 공동 운영 ▲산학 협력 프로젝트 수행 ▲고성능 기자재 및 연구시설 활용 등의 협력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컨샐러드는 연구개발(R&D) 역량 강화를 위해 기업부설연구소를 부산으로 이전했다. 이어 동아대와 협력하여 게임 디자인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게임 이미지 생성형 AI 스튜디오' 개발을 위한 선도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동아대 천세진 컴퓨터공학과 교수의 지도 아래 AI 기술을 연구해 온 석사 연구원을 연구소에 채용할 계획이며, 향후 부산 지역 기업 및 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여 AI 기반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한텍, 수요예측 952:1…공모가 최상단 1만800원으로 확정

㈜한텍(대표이사 박건종)이 공모가를 희망범위(9200원~1만800원) 최상단인 1만800원으로 최종 확정했다고 5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한텍은 지난 2월 24일부터 28일까지 5영업일 간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전체 공모 물량의 75%인 248만1750주 모집에 2451건의 국내외 기관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총 신청주수는 23억6144만5000주로 집계됐고, 최종 수요예측 경쟁률은 951.52:1을 기록했다.

특히 수요예측 참여건수의 99.96%(가격미제시 0.73% 포함)가 희망공모가 밴드 상단 이상으로 가격을 제시하는 등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의무보유확약 비율도 19.8%에 달해 상장 후에도 안정적인 주가 흐름이 기대된다.

한텍의 이번 공모 자금은 총 357억원이다. 회사는 이번 공모를 통해 유입된 자금을 사용 후 핵연료봉 저장용기(CASK), 액화이산화탄소 저장용기 개발 등 신사업 시설 투자와 연구개발에 활용해, 미래 먹거리 확보에 힘쓸 계획이다.

박건종 한텍 대표이사는 “트럼프 2기 정권 수혜가 기대되는 액화천연가스(LNG) 사업과 함께 차별성 있는 기술력에 기반한 진입 장벽이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다”며, “이어지는 일반 공모 청약에도 투자자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소감을 밝혔다.

◆ ​소마젠, 단일 세포 및 종양 유전체 분석에 특화된 최신 글로벌 시퀀싱 플랫폼 UG100 구축

미국 멀티오믹스 전문 분석기업 소마젠(950200)은 미국 소재 글로벌 유전체 분석기업인 얼티마 지노믹스(Ultima Genomics)사의 최신 글로벌 시퀀싱 플랫폼UG100™을 도입하고, 공식 서비스 제공업체(Certified Service Provider, CSP) 인증을 획득했다고 5일 밝혔다.

얼티마 지노믹스는 2016년 설립된 차세대 유전체 분석 글로벌 기업으로, 독자적인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을 기반으로 전 세계 유전체 분석시장에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금번 소마젠이 도입한 얼티마 지노믹스의 UG100™는 기존의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을 뛰어넘는 혁신적인 유전체 분석 플랫폼으로 향상된 시퀀싱 아키텍처를 기반 플랫폼으로서, 글로벌 유전체 분석기업인 일루미나 등의 기존 시퀀싱 플랫폼과 비교하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면서도 높은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UG100™은 최근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에서 진행하는 대규모 인간 단백체 연구 프로젝트에 공식적인 유전체 분석 플랫폼으로 채택되면서, 그 기술력과 신뢰성이 다시 한번 입증된 바 있다.

특히, UG100™의 ppmSeq™(paired plus minus sequencing) 기술을 활용한 변이 검출 기능은 기존 기술 대비 오류율을 백만 분의 1 수준으로 낮춤으로써, 정확한 변이 분석이 필수적인 종양 유전체학 및 잔류 질병(MRD) 모니터링 분야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한편, 단일 세포(Single Cell) 및 공간 생물학 분석에서도 기존의 시퀀싱 플랫폼보다 높은 해상도와 함께 보다 경제적인 단일 세포 유전체 분석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81.12 ▼76.86
코스닥 672.85 ▼20.91
코스피200 332.40 ▼10.5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742,000 ▼1,238,000
비트코인캐시 450,700 ▼2,300
이더리움 2,723,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5,060 ▼80
리플 3,117 ▼32
이오스 921 ▼13
퀀텀 2,857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4,100,000 ▼151,000
이더리움 2,742,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60
메탈 1,046 ▼7
리스크 764 ▼2
리플 3,146 ▼10
에이다 979 ▲2
스팀 19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2,740,000 ▼1,300,000
비트코인캐시 453,700 0
이더리움 2,719,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5,120 ▼20
리플 3,118 ▼32
퀀텀 2,887 0
이오타 254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