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최근 분양시장에서 ‘틈새 평형’이 주거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사회적 변화로 전통적인 가족 단위였던 4인 가구의 비중이 감소함에 따라 실속과 효율을 중시하는 주거공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틈새 평형은 일반적으로 전용 70~80㎡ 규모의 주거공간을 일컫는다. 소형과 중형 사이의 평형이라는 점에서 ‘준중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그동안 틈새 평형은 국민평형으로 분류되는 전용 84㎡와 대표적인 소형 아파트로 꼽히는 전용 59㎡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아왔다.
하지만 사회적 변화로 가족 단위가 축소하면서 틈새 평형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전국 평균 가구원수는 2.21명으로 역대 최저 수준으로 조사됐다. 2~3인 가구의 비율은 전체의 47.8%로 절반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냈다. 반면, 전통 가족 단위였던 4인 가구의 비율은 16.8%로 최근 3년 동안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세로 자리 잡은 ‘틈새 평형’…작년 수도권 청약경쟁률 ‘高高’
이러한 가족 구성원 감소는 분양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주거단지들은 전용 84㎡나 전용 59㎡ 등 기존의 정형화된 평형을 선보이는 동시에 전용 70~80㎡ 규모의 틈새 평형의 공급 비중을 늘리는 추세다. 이런 분위기 속에 작년 청약시장에서 틈새 평형은 높은 인기를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경기 과천시에서 분양한 ‘프레스티어 자이’는 총 287세대 중 98세대가 전용 74㎡ 틈새 평형으로 구성됐는데, 특히 전용 74㎡ 총 5개 타입이 모두 1순위에서 청약이 마감됐다. 가장 청약경쟁률이 높았던 전용 74㎡A 타입은 40세대(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2,000건 이상의 청약통장이 몰리며 53.47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또 같은 달 경기 성남시 중원구에서 분양한 ‘해링턴 스퀘어 신흥역’은 전용 74㎡A 타입이 총 10개 타입 중 2번째로 높은 경쟁률인 26.06대 1을 기록하며 1순위 해당 지역에서 청약을 마감했다. 이 단지는 전용 59·74·84㎡ 총 1,319세대 규모로 가장 청약경쟁률이 높았던 전용 84㎡A 타입을 제외하면, 틈새 평형이 전용 59㎡ 보다 높은 선호도를 나타낸 것이다.
4인 가족의 비중이 계속 감소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틈새 평형의 주거선호도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 ‘틈새 평형’ 돋보이는 올해 주요 분양 단지 어디?
이런 가운데 올해에도 틈새 평형을 선보이는 분양단지가 수요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대한토지신탁㈜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5동 새한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을 통해 ‘용현 우방 아이유쉘 센트럴마린’을 3월 중 선보일 예정이다. 아파트 전용 59·73·76㎡ 총 252세대 중 196세대가 일반분양되며, 이 가운데 틈새 평형인 전용 73·76㎡의 비중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오피스텔은 전용 68·80㎡ 76실 규모로 건립된다. 이 단지는 용현5동 새한아파트 재건축조합이 시행하고, 대한토지신탁㈜이 사업대행을 맡았다. 시공은 SM스틸㈜·SM경남기업㈜이 담당한다.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서는 제일건설이 이달 중 ‘양주역 제일풍경채 위너스카이’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전용 70·84·101㎡ 총 702세대 규모로 틈새 평형에 속하는 전용 70㎡가 전체의 약 40%를 차지한다. 지하철 1호선 양주역과 초역세권 단지로 인근 의정부역에는 향후 GTX-C 노선도 예정돼 있다.
롯데건설은 경기 김포시 풍무동에서 ‘풍무역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3월 분양할 계획이다. 전용 65·75·84㎡ 총 720세대로 구성되며, 틈새 평형인 전용 65·75㎡가 전체 세대의 약 70%에 달한다. 인근에 김포골드라인 풍무역을 비롯해 제1순환고속도로, 김포대로, 김포한강로 등 다양한 도로망이 자리해 서울 접근성이 뛰어나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요즘 가족에 최적화”…전용 70~80㎡ ‘틈새 평형’ 주목
기사입력:2025-03-06 16:37:1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483.42 | ▲13.01 |
코스닥 | 717.77 | ▲6.02 |
코스피200 | 328.35 | ▲2.0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413,000 | ▲49,000 |
비트코인캐시 | 494,300 | ▼1,000 |
이더리움 | 2,304,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490 | ▲20 |
리플 | 3,013 | ▲18 |
이오스 | 913 | ▲12 |
퀀텀 | 3,069 | ▲2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526,000 | ▲126,000 |
이더리움 | 2,303,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480 | ▼20 |
메탈 | 1,212 | ▲1 |
리스크 | 753 | ▲4 |
리플 | 3,013 | ▲15 |
에이다 | 909 | ▲9 |
스팀 | 225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420,000 | ▲60,000 |
비트코인캐시 | 494,700 | ▼1,100 |
이더리움 | 2,302,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2,540 | ▲120 |
리플 | 3,014 | ▲19 |
퀀텀 | 3,065 | ▲9 |
이오타 | 23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