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한국교통안전공단(TS, 이사장 정용식)이 전기차 화재로 인한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해 작년 한해 추진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운영성과를 발표했다.
TS는 지난 9월 정부에서 발표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에 따른 분야별 세부 대책을 기반으로 국민이 안심하고 전기차를 운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TS에 따르면 먼저 2018년~2024년 기간 동안 실시한 156건의 전기차 화재조사 결과, 발화장치별 화재 건수는 ▲고전압배터리가 85건 ▲차량 기타 장치 39건 ▲차량 외부요인 및 원인미상 등 32건 순으로 나타났다. 또 화재상황별 화재 건수는 ▲주차·충전 중 103건 ▲주행 중 32건 ▲충돌사고 후 21건이 발생했다.
특히 주차 중 발생한 고전압배터리 화재는 초기 발견과 대응이 어려워 대형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공단은 ‘전기차 화재 대응 TF’를 구성하고 신속성, 전문성, 지속가능성을 바탕으로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에 신규 평가항목을 신설하고, 사전인증 관리 대상 부품을 확대하는 등 안전관리 체계를 구체화했다.
주차 중 화재 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배터리관리시스템)가 작동하지 않아 고전압 배터리의 이상을 감지하지 못하고, 화재 전조증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소방기관에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초동 조치가 어려웠다.
TS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골든타임 확보가 가능하도록 ▲배터리 상시 감시 ▲자동 신고 ▲정보 저장 등 3가지 평가항목을 새롭게 마련한 BMS 보호기능 평가를 2024년 세계 최초로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에 도입했다.
BMS 보호기능 평가를 통해 제작사가 고전압 배터리 화재 예방과 피해감소를 위한 BMS 첨단 기술을 차량에 장착하도록 유도해 올해 BMS 신기술이 적용된 차량이 25개 차종으로 확대됐다.
TS는 기존의 자기인증 방식에서 벗어나 배터리 안전성을 정부가 직접 인증하는 배터리 사전인증제도 추진에도 만전을 가하고 있다.
실제로 전담조직을 신설해 시범사업을 착수·완료했으며, 이를 통해 미비점을 보완하고 세부 절차를 마련, 제도 시행을 위한 준비를 완료했다.
또 소비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배터리 제조사와 제작 주요 정보를 의무적으로 공개하고 있으며, 배터리 식별번호를 차량 등록원부에 표기하도록 했다.
향후에는 배터리 전주기의 체계적 관리 및 사용 후 배터리 활성을 위해 배터리의 성능, 수명, 잔존가치 등을 종합 관리하는 배터리 이력관리 시스템을 마련할 예정이다.
TS 정용식 이사장은 “TS가 보유한 전기차 화재조사 관련 노하우와 연구 역량을 활용해 안전한 전기차 운행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사전 예방 측면의 철저한 안전관리를 통해 전기차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TS, 세계 최초 전기차 배터리 안전 평가기술 선봬
기사입력:2025-03-20 12:02:4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21.39 | ▲40.27 |
코스닥 | 691.45 | ▲18.60 |
코스피200 | 338.22 | ▲5.8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6,282,000 | ▼56,000 |
비트코인캐시 | 459,900 | ▼400 |
이더리움 | 2,829,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180 | ▼40 |
리플 | 3,172 | ▼2 |
이오스 | 1,013 | ▼2 |
퀀텀 | 2,931 | ▼1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6,273,000 | ▼5,000 |
이더리움 | 2,833,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240 | ▼50 |
메탈 | 1,044 | ▼18 |
리스크 | 758 | ▼7 |
리플 | 3,175 | ▲2 |
에이다 | 1,007 | ▼5 |
스팀 | 190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6,300,000 | 0 |
비트코인캐시 | 459,400 | ▼400 |
이더리움 | 2,830,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150 | ▼70 |
리플 | 3,173 | ▲3 |
퀀텀 | 2,937 | ▼14 |
이오타 | 261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