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대전환 시대, 일본 자동차 산업의 대응 전략과 시사점' 보고서 발간

기사입력:2025-04-01 23:26:24
[로이슈 전여송 기자] 대전환 시대를 맞은 일본 자동차 업체들은 단기적으로 HEV와 신흥국 중심의 수익성을 제고하고, 장기적으로 공급망 재편과 모빌리티 혁신을 통한 대응책을 모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KOTRA(사장 강경성)는 1일 발간한 '대전환 시대, 일본 자동차 산업의 대응 전략과 시사점'보고서에서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한국 기업에 대한 전략 방향과 한일 기업간 협력 기회를 제시했다.

▶ 미국내 현지 생산 확대에 주력하며 기존 공급망 유지 전략을 병행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미국의 고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멕시코에서 미국으로의 생산설비 이전 및 미국내 현지 생산을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급만 재편은 최소 3~4년이 소요되는 만큼 기존의 공급망을 유지하면서 장기적으로 생산지와 판매지를 조정하는 방안을 동시에 검토하고 있다. 특히, 일본 자동차 부품업체들은 공급망 자체를 변경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완성차 업체와의 협력 하에 거점별 생산량 조정, 관세로 증가한 비용 협상 등의 대응을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EV 후발주자로서 기술혁신 추격 의지를 보이며, HEV 경쟁력으로 승부

또한 급격한 EV 전환 대신 HEV를 통한 단계적 전환 전략 하에, HEV 수익을 활용하여 차세대 EV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주력할 것으로 확인된다.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 시장과 별도로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 중심의 수출시장 다변화로 현지 맞춤형 진출 전략을 강화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 日 정부, 미래 성장전략으로 ‘모빌리티 혁신’을 추진, 기술 융합을 독려

한편, 일본은 정부 주도로 ‘모빌리티 혁신 전략’을 수립하여 차세대 자동차 경쟁력 제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Software Defined Vehicle)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자동차 산업의 수익 구조는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소프트웨어 관련 매출이 더 중요해질 전망이다. 소니와 혼다의 합작사「소니·혼다 모빌리티」가 각각의 콘텐츠 기술과 자동차 역량을 결합해 새로운 고객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서비스 기능을 강화한 것은 좋은 사례이다.

▶ 대전환 시대, 한일 자동차 업체 간 경쟁과 협력 구조가 복합적으로 전개

미국의 고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한일 자동차 업체들은 공통적으로 미국 현지 생산을 확대하고 부품 조달을 미국 내 거점으로 전환 중이다. 이 과정에서 한일 기업 간 협력으로 도요타와 LG에너지솔루션, 닛산과 한국 SK온과의 추가 공급 계약 등이 주목된다. 또한,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SDV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타 산업과의 전략적 연계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한국과 일본의 강점을 결합한 새로운 협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자동차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중국, 인도 등 신흥국에서의 한일 간 경쟁 역시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우리 기업들은 신흥국 맞춤형 제품개발과 마케팅 전략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지형 KOTRA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한일 자동차 산업은 협력과 경쟁을 토대로 성장을 지속해 온 관계”라는 전제하에, “글로벌 통상 환경의 변화로 불확실성에 대한 위기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한일 간 협력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KOTRA 해외시장뉴스에서 무료로 제공된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05.86 ▼15.53
코스닥 684.85 ▼6.60
코스피200 336.26 ▼1.96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5,346,000 ▼1,435,000
비트코인캐시 448,200 ▼3,100
이더리움 2,768,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4,700 0
리플 3,104 ▼37
이오스 1,240 ▲6
퀀텀 2,810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5,362,000 ▼1,452,000
이더리움 2,770,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4,690 ▲90
메탈 1,010 ▼5
리스크 732 ▼8
리플 3,107 ▼38
에이다 993 ▼5
스팀 184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5,270,000 ▼1,660,000
비트코인캐시 447,000 ▼4,400
이더리움 2,768,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4,630 ▼70
리플 3,105 ▼34
퀀텀 2,812 ▼9
이오타 252 ▼9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