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화원연합회, 신문의 날 맞아 ‘우리말 기자 수첩’ 배포

기사입력:2025-04-05 17:47:50
[로이슈 전여송 기자]
국어문화원연합회(회장 김덕호)가 4월 7일 신문의 날을 맞아 독립신문 창간 정신을 이어가고자 ‘우리말 기자 수첩’을 배포한다고 5일 밝혔다. 한국기자협회,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한국지방신문협회 등을 통해 기자들에게 전달할 계획이다.

연합회에 따르면 ‘우리말 기자 수첩’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진행하는 ‘공공언어 개선 지원 사업’의 하나로 제작했다. 여러 언론사가 기사 작성에 필요한 자체 지침서를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지침서가 없는 곳이 많다. 이에 국어문화원연합회에서 기사 작성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공공성 높은 쉽고 정확한 기사 문장 작성법, 국제기구 이름의 우리말 표기, 쉽게 다듬은 우리말 표현 등)을 담은 안내서인 ‘우리말 기자 수첩’을 마련했다.

1896년 4월 7일, 독립신문은 논설에서 “한글로 쓰는 것은 남녀 상하귀천이 모두 보게 함이요”라고 밝혀 신문을 누구나 읽을 수 있게 한글로만 쓰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 정신을 이어 국어기본법에서도 “공공기관 등은 공문서 등을 일반 국민이 알기 쉬운 용어와 문장으로 써야 한다”라고 공공언어의 원칙을 제시했다. 그러나 최근 언론 기사에는 낯선 외국어와 로마자가 빈번하게 사용된다.

‘우리말 기자 수첩’에서는 더욱 쉬운 우리말 표현을 제안하고 올바른 문장 사용법을 안내한다. 첫 번째 ‘표기 원칙과 올바른 표현’에서는 어려운 말, 비슷하지만 다른 말, 치우치지 않는 말, 차별하지 않는 말을 소개한다. 또한 국제기구 이름의 우리말 표기법과 쉽고 정확한 기사 문장 만드는 방법 등을 안내한다. 두 번째 ‘기사 작성의 기본 요건’에서는 언론 윤리 및 보도 준칙, 보도자료 활용법, 취재원 찾기, 좋은 기사의 요건, 제목 작성법, 전문(리드문) 작성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부록에는 쉽게 다듬은 말, 헷갈리는 말, 틀리기 쉬운 말 목록과 한국기자협회 윤리 강령 및 실천 요강을 담았다. ‘쉽게 다듬은 말’ 목록에는 ‘디지털 포렌식은 전자 법의학’, ‘머그샷은 피의자 사진 공개 제도’, ‘블랙 아이스는 도로 살얼음’, ‘싱크홀은 땅꺼짐’, ‘AI는 인공 지능’ 등과 같이 누구나 알기 쉽게 우리말로 바꿔서 기사에 사용하자고 제안하는 67개 낱말을 넣었다.

‘우리말 기자 수첩’을 펴낸 국어문화원연합회 김덕호 회장은 “신문의 날에 순한글로 독립신문을 편집하신 주시경 선생님을 떠올린다. 2020년부터 2023년도까지 매년 언론과 협력해 보도 용어의 공공성을 높이는 사업을 진행했다. 이번 안내서 배포를 계기로 다시 한번 언론과 함께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확산할 수 있는 지속적인 예산 지원과 관심이 따라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우리말 기자 수첩’ PDF 파일은 ‘국어문화원연합회’와 ‘쉬운 우리말을 쓰자’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335.88 ▼129.54
코스닥 654.06 ▼33.33
코스피200 310.67 ▼18.0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15,421,000 ▼995,000
비트코인캐시 400,900 ▲1,400
이더리움 2,323,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0,640 ▲110
리플 2,707 ▼24
이오스 1,055 ▲1
퀀텀 2,521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15,300,000 ▼1,112,000
이더리움 2,316,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0,610 ▲100
메탈 935 ▼1
리스크 625 ▲7
리플 2,703 ▼30
에이다 831 ▼2
스팀 16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15,370,000 ▼1,030,000
비트코인캐시 402,000 ▲3,500
이더리움 2,322,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0,540 ▲50
리플 2,706 ▼27
퀀텀 2,527 ▲27
이오타 214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