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고법 판결] '과도한 주사치료 장애' 병원, '8천200만원 배상하라' 선고

기사입력:2025-04-14 16:34:17
광주고등법원 전경. (사진=연합뉴스)

광주고등법원 전경.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광주고법 민사3부(최창훈 고법판사)는 환자 A씨가 자신이 수술 치료를 받은 B 병원장과 의사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1심을 취소하고, 원고에게 8천200여만원을 배상하라고 주문했다고 14일 밝혔다.

A씨는 2019년 무릎관절 통증 증상으로 B 병원에서 2차례 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발목 통증이 지속되자 스테로이드계 약물을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주사 맞았지만 통증이 가라앉지 않자, 추가로 수술받고 스테로이드계 약물 주사도 계속 맞았으나 통증은 악화했다.

이에 4차례나 더 발목 수술을 받은 A씨는 결국 상급 대학병원으로 전원 돼 여러 차례 수술·치료를 더 받은 끝에 결국 노동능력 상실률 24.32% 장애를 갖게 되자 B 병원 측을 상대로 이번 소송을 제기했다.

1심 재판부는 "B 병원 의료진의 스테로이드계 주사 치료에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병원 측이 용법에 따른 최소한의 시간적 간격을 두지 않고 반복적으로 주사 치료를 실시해 발목 감염이 발생·악화 됐을 가능성이 높고, 주사 치료 과정에서 설명 의무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1심 재판부는 A씨의 일실수입과 기왕치료비 등 손해액이 1억5천여만원에 달한다고 보고, 병원 측 책임 비율을 90%로 인정했다.

항소심도 1심 판단과 마찬가지로 B 병원 측에 주사 치료를 제대로 하지 않은 과실이 있다고 인정했으나, 책임 비율은 40%에 한정된다고 판단했다.

항소심 재판부는 "진료상의 과실로 감염이 악화한 사실은 인정되나, 감염 자체를 발생시켰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며 "원고가 주사 치료 이전부터 발목 통증을 호소해 본인의 기저질환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고려했다"고 판시했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77.41 ▲21.52
코스닥 711.92 ▲2.94
코스피200 328.14 ▲2.81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355,000 ▲127,000
비트코인캐시 471,900 ▲1,400
이더리움 2,358,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1,890 ▼10
리플 3,101 ▼2
이오스 871 0
퀀텀 2,829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450,000 ▲50,000
이더리움 2,361,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1,900 ▼30
메탈 1,100 0
리스크 689 ▼2
리플 3,102 ▼4
에이다 906 0
스팀 19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370,000 ▲200,000
비트코인캐시 471,700 ▲1,700
이더리움 2,359,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1,870 ▼50
리플 3,099 ▼5
퀀텀 2,826 0
이오타 235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