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행정법원 판결]금감원, 접대 요구 직원, '면직 정당' 선고

기사입력:2025-04-28 17:30:52
서울행정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서울행정법원 전경.(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도현 인턴 기자]
서울행정법원은 업무상 검사를 실시 중이던 회사에 접대를 요구하고 향응을 받은 직원에게 해고를 통보하고 자체 재심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은 금융감독원의 처분은 정당하다고 선고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1부(김준영 부장판사)는 금감원이 중앙노동위원회를 상대로 제기한 부당해고 구제 재심판정 취소 소송에서 지난 2월 원고 승소 판결했다고 28일, 밝혔다.

금감원 소속 직원 A씨는 2022년 12월 자신이 현장 검사를 실시한 보험대리점 직원에게 저녁 식사와 음주 접대를 요구해 67만원 상당의 향응을 받았다는 사유로 2023년 4월 면직 통보를 받았다.

A씨가 자체 재심을 청구했으나 금감원은 2023년 6월 "징계위원회 심의결정에 영향을 미칠 새로운 증거가 나타나지 않았고, 관계규정 적용에 명백한 잘못이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며 A씨의 재심 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A씨는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구제를 신청했다.

지노위는 "징계 재심절차를 거치지 않은 중대한 하자가 존재한다"며 금감원의 면직처분이 부당해고라고 판정했다.

금감원이 이에 불복해 중앙노동위원회에 재심을 신청했으나 중노위 역시 2024년 1월 부당해고가 맞는다며 금감원의 재심 신청을 기각했다.

이에 금감원은 중노위 재심판정이 위법하다며 행정법원에 소송을 냈다.

행정법원은 "A씨에게는 금감원 인사관리규정이 정한 재심사유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며 금감원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재판부는 "A씨가 재심을 청구하며 한 주장은 이미 징계의 기초가 된 사실관계가 타당하지 않다거나 징계양정이 부당하다는 취지에 불과하고, A씨는 이 사건 재심청구를 하면서 징계에 관한 심의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증거를 제출한 바도 없다"고 판시했다.

이어 재판부는 "A씨는 이미 금감원 징계위에 출석해 진술하고 필요한 자료를 제출하는 등 방어권을 행사했다"며 "재심사유가 없어 별도의 재심 징계위를 거치지 않은 것이 A씨의 방어권 행사에 중대한 장해를 초래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김도현 로이슈(lawissue) 인턴 기자 ronaldo0763@naver.com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48.86 ▲2.56
코스닥 719.41 ▼10.28
코스피200 337.08 ▲0.21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100,000 ▼86,000
비트코인캐시 506,500 ▼3,500
이더리움 2,607,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300 ▼30
리플 3,333 ▼17
이오스 983 ▼3
퀀텀 3,202 ▼2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989,000 ▼281,000
이더리움 2,607,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4,270 ▼60
메탈 1,220 ▼10
리스크 775 ▲3
리플 3,333 ▼18
에이다 1,034 ▼6
스팀 22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7,12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506,500 ▼3,500
이더리움 2,607,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300 ▼40
리플 3,335 ▼14
퀀텀 3,216 0
이오타 324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