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뉴스-Arctis 5] '게임+헤드셋' 언급횟수 1,043% 증가…'착용감·디자인·음질·기능'이 체크포인트

기사입력:2018-08-28 18:58:13
[로이슈 편도욱 기자] 배틀그라운드 오버워치 등의 게임의 흥행에 힘입어 헤드셋과 게임의 연관 언급횟수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게이밍 헤드셋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로이슈의 의뢰를 받아 데이터앤리서치가 웹 빅데이터 분석 툴 '소셜메트릭스'로 조사한 결과, 온라인 상에서 올해 상반기(2018년 1월~7월) 헤드셋과 게임의 연관 언급횟수가 전년 상반기(2017년 1월~7월) 대비 1,043.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올해 총 연관 언급횟수는 9,054회로 전년 792회 대비 1,043.18% 증가했다. 매체별로는 지난해 상반기에 ▲트위터 203회 ▲블로그 348회 ▲커뮤니티 126회 ▲인스타그램 57회 뉴스 58회 언급됐던 것이 2018년 상반기에 ▲트위터 3,921회 ▲블로그 1,959회 ▲커뮤니티 1,463회 ▲인스타그램 1,041회 ▲뉴스 670회로 증가했다.



헤드셋의 주요 소비자는 20대와 30대 남자로 주로 PC를 통해 관련 정보를 얻고 구입을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네이버 데이터랩을 통해 분석한 결과 PC 헤드셋은 모바일(49%)보다는 PC(51%)를 통해 클릭되는 양이 많았다. 헤드셋을 검색하는 성별로는 여성(20%)보다 남자(80%)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30대가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소셜 메트릭스를 통해 헤드셋과 게임의 연관 언급 순위(2018년 1월~7월)를 조사한 결과 게임에서는 베틀그라운드(636회)가 가장 많이 언급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오버워치, 젤다의 전설, 스페셜포스 등이 헤드셋+게임 연관 언급횟수가 많은 게임으로 확인됐다.



헤드셋 브랜드로는 로지텍, 젠하이저, 스틸시리즈 등이 주요 연관 검색어로 파악됐다. 이에 로이슈는 스틸시리즈의 최신 헤드셋 Arctis 5의 SNS반응을 분석, 게임 헤드셋의 마케팅 포인트와 소비자 니즈 등을 조사해 봤다.

◆게이밍 헤드셋 핵심 체크 리스트는 '착용감·디자인·음질·기능'…커스터마이징 기능으로 만족도 'UP'

스틸시리즈 Arctis 5는 국내에는 지난해 2월에 출시된 제춤으로 네이버 쇼핑 리뷰 평점 4.7을 기록하고 있는 상태다. 우선 쇼핑몰 리뷰를 중심으로 SNS 반응을 통해 분석한 결과, 착용감이 중요한 키워드로 조사됐다.

Lotte몰을 이용한 matc**** 유저는 "원래 쓰던 헤드셋은 귀에 닿는 부분이 부드러운 편이었음에도 2~3시간 정도 쓰면 아팠다"며 "지금 쓰는 스틸 아크틱5는 귀에 닿지 않고 귀 전부를 감싸줄만큼 큼지막해 통증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skyt****도 "아크티스 5의 장점은 착용감이 뛰어나다는 것 통풍이 잘되고 부드러운 쿠션소재 때문에 오랜시간 끼고 있어도 귀가 아픈일이 없으며 사용해본 헤드셋중 가장 편하다"고 전했다.

11번가에서 구매한 pa****** 유저도 "개인적으로 헤드폰은 착용감만 본다"면서 "착용감 최고라는 소니 MDR -1을 사용하고 있는데, 아크티스5는 견줄만하다"고 말했다.

게임 유저들에게는 장시간 헤드셋 이용 시 느껴지는 귀부분의 통증에 대한 해결이 중요한 구매 포인트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디자인도 핵심 체크 포인트로 분석됐다. 게임용 컴퓨터 및 주변 기기의 경우 화려한 디자인을 통해 게임용 기기의 정체성을 부여받아왔다. 하지만 Arctis 5의 경우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무난한 디자인을 채택했다.



특히 마이크 부분을 헤드셋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만들어, 마이크가 없는 헤드폰처럼 보일 수 있도록 처리했다. 이와 함께 무난한 외관 대비 헤드밴드는 화려한 디자인을 채택, 디자인 포인트를 만들었다. 이같은 디자인적인 요소는 화려한 디자인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블러거 기먼은 'Arctis 5 개봉기'를 통해 헤어밴드를 조망했다. 그는 "Arctis 5의 헤드밴드는 독특한 모습"이라며 "고글용 서스펜션 헤드밴드를 채택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신축성이 좋아 장시간 착용 시에도 큰 불편함이 없어 보인다"고 밝혔다.

또 "운동복에서 영감을 얻어 탄생한 제품인 만큼 휴대성에서도 장점이 많아 보인다"며 "게임뿐만 아니라 영화나 음악 등의 사운드도 벨런싱이 잘 돼 있다"고 말했다.

커스터 마이징의 부분도 주목받았다. 블로거 천추는 '아크티스5 추천 with 오버워치' 글을 통해 Arctis 5에 장착된 프리즘 RGB 조명 시스템을 소개했다. 그는 "스틸시리즈 엔진3 소프트웨어를 통해 색상과 빛의 변화를 마음대로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고 파동에 따른 트리거 모드 등의 효과를 지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부적인 기능에 대해 컴퓨존에서 구입한 아이디 pkib****를 사용하는 유저는 ▲볼륨 조절다이얼 ▲마이크 on/off 기능 ▲보이스챗 프로그램 ▲게임의 음량을 조절하는 ChatMix 기능 등을 장점으로 꼽았다. 음질과 마이크 기능에 대해서는 "게이밍헤드셋 특유의 붕붕 거림이 없고 마이크는 노이즈켄슬링이 들어가 목소리가 선명하게 전달이 잘되고 감도가 우수하다"고 말했다.



단점으로는 ▲USB케이블이 미니5핀/마이크로5핀이 아닌 독자규격이라 분실 시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과 베이스가 좀 옅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착용감과 디자인, 음질, 기능 등이 소비자들의 체크 포인트로 분석됐다"며 "소비자들의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커스터 마이징 기능 등을 활용하는 방법도 유효해 보인다"고 말했다.

편도욱 기자 toy1000@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77.41 ▲21.52
코스닥 711.92 ▲2.94
코스피200 328.14 ▲2.81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296,000 ▼453,000
비트코인캐시 470,000 ▼6,500
이더리움 2,348,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1,930 ▼40
리플 3,101 ▼23
이오스 869 ▼1
퀀텀 2,844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427,000 ▼494,000
이더리움 2,350,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1,900 ▼100
메탈 1,102 ▲4
리스크 691 ▼1
리플 3,106 ▼20
에이다 906 ▼11
스팀 19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3,190,000 ▼500,000
비트코인캐시 470,500 ▼5,500
이더리움 2,348,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1,920 ▼70
리플 3,099 ▼23
퀀텀 2,826 0
이오타 235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