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개인정보 유출 공무원은 면죄부, 사회복무요원만 무조건 고발"

최근 3년 행정기관 통한 개인정보 유출 153건(공무원 152건, 사회복무요원 1건) 기사입력:2020-10-13 09:24:19
하태경 국회의원.(제공=하태경의원실)

하태경 국회의원.(제공=하태경의원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최근 3년 간 행정기관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로 징계를 받은 건수가 총 153건에 달하지만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소속 기관이 고발한 사례는 단 2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왔다.

국민의힘 하태경(부산해운대구갑)의원이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행정기관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현황’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중앙부처 및 지자체에서 개인정보 유출로 징계까지 받은 사례는 공무원 152건, 사회복무요원 1건 등 총 153건으로 파악됐다고 13일 밝혔다.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유출은 개인정보보호법 제71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중범죄이다. 하지만 총 156건 사례의 대부분이 행정징계에만 그치고 행정기관이 개인정보법 위반으로 형사고발한 사례는 단 두 건에 불과했다. 행정기관이 범죄사실을 파악해 징계까지 하고도 형사고발하지 않은 것은 범죄은폐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한편 병무청과 정부는 이와 대조적으로 사회복무요원의 개인정보 유출행위 적발시 무조건 형사고발하는 방안을 추진해 논란이 되고 있다. 병무청은 올해 상반기 큰 사회적 물의를 빚었던 N번방 사건에 한 사회복무요원의 개인정보 유출행위가 연관된 것으로 파악되자 후속대책으로 사회복무요원이 개인정보를 유출하면 무조건 즉시 형사고발토록 병역법을 개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도 지난 6월 12일 제7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심의해 확정했다.

최근 3년간 행정기관을 토한 개인정보 유출현황 등.(제공=하태경의원실)

최근 3년간 행정기관을 토한 개인정보 유출현황 등.(제공=하태경의원실)

이미지 확대보기

하지만 정부가 확정한 방안에는 공무원의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선 별다른 언급 없이 사회복무요원에 대해서만 즉시 고발토록 하고 있어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행정기관 개인정보 유출범죄의 99%를 차지하는 공무원에겐 형사처벌의 면죄부를 주면서 1%에 지나지 않은 사회복무요원은 법까지 개정해 무조건 고발하겠다는 것은 지나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하태경 의원은 “행정기관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의 대부분이 공무원을 통해 이뤄지는데 주범인 공무원에는 면죄부 주고 사회복무요원만 무조건 고발하겠다는 건 형평성에 심각한 위배된다”며 “행정기관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국민적 비판을 모면하기 위해 힘없는 사회복무요원을 희생양 삼으려는 무조건 고발 방침은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447.43 ▼29.98
코스닥 699.11 ▼12.81
코스피200 323.53 ▼4.61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1,686,000 ▼293,000
비트코인캐시 466,900 ▼2,800
이더리움 2,288,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1,550 ▼150
리플 2,991 ▼31
이오스 876 ▼2
퀀텀 2,815 ▼6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1,627,000 ▼373,000
이더리움 2,289,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1,560 ▼130
메탈 1,108 ▼14
리스크 682 ▼6
리플 2,992 ▼33
에이다 880 ▼8
스팀 197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1,630,000 ▼370,000
비트코인캐시 466,700 ▼2,700
이더리움 2,289,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1,530 ▼130
리플 2,994 ▼30
퀀텀 2,811 0
이오타 230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