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그 아동탈취협약 ‘상거소’ 분쟁사례 승소 이끈 ‘법무법인 원’

대법원,“상거소는 구체적인 사건에서 아동의 거주를 둘러싼 모든 사정을 종합 판단” 원심 확정 기사입력:2021-04-15 10:46:40
조숙현·김민후 변호사.(사진제공=법무법인 원)

조숙현·김민후 변호사.(사진제공=법무법인 원)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법무법인(유) 원(대표변호사 강금실, 윤기원)이 헤이그 아동탈취협약의 상거소(常居所-항상 머물러 있는 곳) 개념에 관하여 ‘구체적인 사건에서 아동의 거주를 둘러싼 모든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한다는 결정을 이끌어냈다.

한국에서 혼인신고를 한 후 함께 미국으로 이주하여 영주권을 취득한 A씨와 B씨는 자녀를 미국에서 출산했는데, 미국에서 이혼합의를 한 B씨는 자녀를 데리고 한국으로 돌아온 후 미국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A씨는 서울가정법원에 “자녀를 돌려달라”며 소송을 냈다.

이 사건에서는 1980년 국제사법회의에서 만들어진 헤이그 국제적 아동탈취의 민사적 측면에 관한 협약[1]에서 ‘상거소’ 개념이 쟁점이 됐다. 헤이그 아동탈취협약은 상거소 판단의 기준시기에 관한 규정만을 두고 있을 뿐, 정의 규정을 따로 두지 않고 있다. 이 사건은 협약의 해석을 통해 상거소의 의미를 밝히는 사건이었다.

청구인 A씨를 대리한 법무법인(유) 원의 조숙현(사법연수원 30기), 김민후(변호사시험 5회) 변호사는 최근 2020. 2. 25. 美연방대법원이 Monasky v. Taglieri 사건에서 “아동의 상거소는 부모의 실제 합의(not on categorical requirements such as an actual agreement between parents)가 아닌 구체적인 사안의 모든 상황을 고려한 총체성(a child’s habitual residence depends on the totality of the circumstances specific to the case)에 따라 판단되어야 한다.”고 최초로 판시한 점을 대법원에 제시했다.

이들 변호사는 “아동과 부모의 거주 장소, 거주 기간, 정주 의사, 거주 자격, 부모의 직업 활동, 주요 재산이나 일상에 필요한 물품 등의 소유 및 관리 현황, 아동의 연령, 가정생활과 학교생활, 사회 적응도 등 구체적인 사건에서 아동의 거주를 둘러싼 모든 사정들을 종합하여 판단해야 한다.”는 원심 판단이 정당하다는 대법원 결정을 이끌어냈다.

김민후 변호사는 “Monasky 사례는 미국 연방대법원이 최초로 아동의 상거소(habitual residence) 개념의 판단기준을 명시적으로 제시한 판결로서 의미가 있다”면서 “이번 사건은 대법원과 서울가정법원이 미국의 연방대법원과 마찬가지로 아동의 상거소의 개념을 판단하면서 구체적인 사건에서 아동의 거주를 둘러싼 모든 사정이라는 기준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06.38 ▲8.98
코스닥 714.13 ▼3.91
코스피200 332.31 ▲1.57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556,000 ▲10,000
비트코인캐시 654,000 ▼1,000
비트코인골드 17,030 ▼30
이더리움 4,800,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37,690 ▼60
리플 4,174 ▼36
이오스 1,204 ▲9
퀀텀 4,73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550,000 ▲50,000
이더리움 4,802,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37,680 ▼60
메탈 1,939 ▼6
리스크 1,513 ▲7
리플 4,177 ▼33
에이다 1,513 ▼7
스팀 37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410,000 ▼30,000
비트코인캐시 655,000 0
비트코인골드 17,000 ▼100
이더리움 4,795,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37,700 ▼10
리플 4,173 ▼37
퀀텀 4,723 ▲5
이오타 530 ▼5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