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원도심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노후 주택이 밀집해 저평가되던 원도심이 신흥 주거지로 거듭나면서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는 것이다.
이들 지역의 가장 큰 장점은 생활에 필요한 인프라가 대부분 갖춰져 있다는 점이다. 편리한 교통망은 물론 쇼핑, 문화시설이 풍부하고, 학군까지 우수한 경우가 많다. 여기에 원도심 개발로 주거시설과 인프라가 새롭게 구축되면, 쾌적한 주거환경은 물론 정주여건 개선에 따른 미래가치까지 기대할 수 있어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
실제로 원도심에서 신흥 주거지로 탈바꿈하고 있는 지역 내 아파트의 집값은 고공행진 중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충남 천안시 동남구 신두정지구에 위치한 ‘힐스테이트 천안신부’는 전용면적 84.98㎡가 지난달 5억원(4층)에 거래됐다. 이는 2020년 7월 거래된 3억7500만원(4층) 대비 1억2500만원 상승한 금액이다. 신두정지구 일대는 공업지역에서 주거지역으로 탈바꿈해 브랜드 아파트가 대거 들어서고 있는 신흥 주거지다.
새 아파트에도 프리미엄이 높게 형성되고 있다. 대규모 재개발 사업으로 신흥 주거지로 변모하고 있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일대에서 2020년 2월 공급된 ‘매교역 푸르지오 SK뷰’는 전용면적 84.97㎡ 분양권이 올해 1월 8억1980만원(10층)에 거래됐다. 분양 당시 가격이 6억5200만원이었던것과 비교하면 1억6780만원의 프리미엄이 붙었다.
업계 관계자는 “주거 편의성과 미래가치 두가지 모두 잡을 수 있는 신흥 주거지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은 전국적으로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원래 살던 곳을 떠나지 않으려는 기존의 수요층과 미래가치를 보고 새롭게 이주하려는 수요층이 혼합돼 시장을 탄탄하게 뒷받침하고 있어 이들 지역의 인기는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고 전했다.
올 하반기에도 신흥 주거지로 떠오르는 원도심에 신규분양이 이어지고 있어 수요자들의 관심을 모을 전망이다.
포스코건설은 9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부동에서 ‘더샵 신부센트라’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최고 23층, 9개동, 전용면적 59~150㎡ 7개 타입 구성에 총 592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단지가 들어서는 신두정지구는 두정동과 신부동 사이 핵심 입지에 위치해 교통, 교육, 문화 등 생활 인프라가 풍부하며, 브랜드 아파트들이 밀집한 신흥주거지로 변화하고 있어 지역민들의 관심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DL이앤씨는 9월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선지리에서 ‘e편한세상 주촌 더 프리미어’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9층, 9개동, 전용면적 84~115㎡ 총 992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단지와 바로 인접해 약 4,300여 세대의 공급이 예정된 주촌선천지구 도시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효성중공업은 9월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진사리에서 ‘해링턴 플레이스 진사’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29층, 2개 블록 12개동, 전용면적 74~100㎡ 총 992세대(1블록 355세대, 2블록 637세대) 규모의 대단지로 조성된다. 단지가 위치하는 공도읍은 안성과 평택을 잇는 입지로 두 지역의 생활권을 모두 누릴 수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원도심, 신흥 주거지로 거듭나자 집값 ‘쑥쑥’
기사입력:2022-08-29 16:03:4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483.42 | ▲13.01 |
코스닥 | 717.77 | ▲6.02 |
코스피200 | 328.35 | ▲2.0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150,000 | ▼65,000 |
비트코인캐시 | 482,400 | ▼2,300 |
이더리움 | 2,282,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100 | ▼10 |
리플 | 2,972 | ▼2 |
이오스 | 939 | ▲18 |
퀀텀 | 2,996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083,000 | ▼197,000 |
이더리움 | 2,283,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70 | ▼50 |
메탈 | 1,171 | ▲1 |
리스크 | 745 | ▼2 |
리플 | 2,970 | ▼6 |
에이다 | 889 | ▼2 |
스팀 | 20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2,210,000 | ▼30,000 |
비트코인캐시 | 482,300 | ▼1,900 |
이더리움 | 2,283,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210 | ▲70 |
리플 | 2,972 | ▼1 |
퀀텀 | 2,990 | ▼17 |
이오타 | 23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