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통합 플랫폼 ‘밀크(MiL.k)’를 운영하는 밀크파트너스(대표 조정민)가 글로벌 Web3 슈퍼앱 갤럭시(Galxe)와 글로벌 Web3 생태계 확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밀크는 웹3 비즈니스 환경에 최적화된 기술적 인프라를 확보하고 글로벌 블록체인 생태계와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최근 ‘아비트럼(Arbitrum)’으로 블록체인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했다. 갤럭시와의 이번 파트너십은 마이그레이션 이후 밀크가 아비트럼 생태계 내 글로벌 프로젝트와 협업하는 첫 번째 파트너십이다.
갤럭시(Galxe)는 3300만명 이상의 글로벌 이용자와 7000개 이상의 파트너사를 보유한 Web3 슈퍼앱으로, △갤럭시 퀘스트(Galxe Quest) △갤럭시 패스포트(Galxe Passport) △갤럭시 언드롭(Galxe Earndrop) △알바(Alva) AI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Web3 커뮤니티의 성장과 참여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아비트럼 생태계에서 가장 활발히 운영되는 슈퍼앱 중 하나로, 글로벌 이용자 기반과 생태계 확장성 측면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커뮤니티 기반 확장 및 웹3 생태계 확장을 가속화한다. 밀크가 보유한 150만 국내 이용자 기반 및 다양한 대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구축한 로열티 생태계는 갤럭시의 3300만 글로벌 이용자를 바탕으로 한 소셜 생태계와 긴밀히 연결될 예정이다. 양사는 한국과 글로벌을 잇는 중장기 마케팅 협업을 통해 커뮤니티 성장과 생태계 확장을 추진하며, 실질적인 시너지를 창출해낼 것으로 기대된다.
밀크와 갤럭시가 진행하는 첫 번째 협업으로 갤럭시 플랫폼 내 밀크 전용 퀘스트가 순차적으로 오픈될 예정이다. 국내외 이용자 모두가 참여 가능한 퀘스트가 진행되며, 아비트럼 생태계 내 다양한 글로벌 프로젝트와의 공동 퀘스트도 선보일 계획이다. 규모감 있는 다양한 보상과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이번 협업은 향후 갤럭시의 퀘스트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미션 설계와 리워드 구조가 구현될 예정이며 이용자들에게는 실질적 가치를 제공하는 새로운 웹3 경험을 선사할 전망이다.
또한, 양사는 서비스 간 온체인 환경을 연결하고, 글로벌 이용자들이 밀크와 갤럭시의 다양한 콘텐츠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협력도 확대한다. 기술 연동, 마케팅, 글로벌 유저 온보딩 등 다층적인 협력을 통해 웹3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밀크는 갤럭시 파트너십을 시작으로 아비트럼 생태계 내 다양한 글로벌 Web3 프로젝트와의 협업을 본격화한다. 디파이, 게임, 소셜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와의 연결을 통해 글로벌 생태계 내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져나갈 예정이다.
◆ 가비아, 시흥시에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 공급
클라우드 전문기업 가비아(공동대표 김홍국·원종홍)는 시흥시에 ‘공공기관 전용 가비아 클라우드(IaaS)’를 공급하고, 인공지능(AI) 기반 복지 서비스 ‘시흥 복지온(溫/ON)’의 기술 인프라를 지원했다고 23일 밝혔다.
‘시흥 복지온’은 시흥시의 방대한 복지 데이터를 학습한 소형 대규모언어모델(smaller Large Language Model, sLLM)을 기반으로, 시민에게 맞춤형 복지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AI) 서비스다. 사용자가 시 대표 홈페이지에서 질문을 입력하면, AI가 24시간 실시간으로 응답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해당 서비스는 지난 17일 정식 오픈됐다.
가비아는 AI 서비스에 최적화된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시흥시가 높은 보안성과 독립적인 성능을 갖춘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특히, AI 모델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클라우드 자원과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유연하게 연계한 하이브리드 환경을 구축해 데이터 처리 속도와 시스템 효율성을 동시에 높였다.
가비아의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는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된 인프라 서비스로, 99.9%의 높은 가용률을 보장한다. 현재 국가유산청,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광해광업공단 등 주요 공공기관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정대원 가비아 상무이사는 “AI 기반 행정 혁신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공공기관에서도 안정성과 보안성을 갖춘 클라우드 인프라가 필수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며, “가비아는 앞으로도 공공 부문에 특화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뉴엔AI, 증권신고서 제출… 코스닥 상장 본격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빅데이터 분석 전문 기업 뉴엔AI(뉴엔에이아이, 구 알에스엔, 대표이사 배성환)가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공모 절차에 돌입했다고 23일 밝혔다.
뉴엔AI는 이번 상장을 통해 2,220,000주를 공모할 계획이다. 희망 공모가는 13,000원~15,000원으로 공모예정금액은 289억 원~333억 원이다. 수요예측은 6월 9일부터 6월 13일까지 5일간 진행되며, 6월 19일~20일 양일간 청약을 거쳐 연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다. 상장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2004년 설립된 뉴엔AI는 인공지능(AI) 기술 기반 기업형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분석 전문 기업이다. 구어체 특화 언어 모델인 'Quetta(퀘타)’ AI기술을 기반으로 ‘고객 맞춤 구독형 AI 분석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비즈니스 모델로는 ▲고객 맞춤형 빅데이터 AI분석 서비스 ‘Quetta Enterprise’ ▲범용형 빅데이터 AI 분석 서비스 ‘Quetta Service’ ▲데이터 정제 및 가공 서비스 ‘Quetta Data’가 있다.
뉴엔AI는 AI 기술의 핵심인 분석 역량과 데이터 확보 측면에서 강점을 지닌다 온라인 빅데이터에 특화된 파운데이션 모델 아키텍처 Quetta_LLMs 기반으로 딥러닝 및 생성형 AI를 이용한 고품질의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 핵심이다. 또한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 기반의 Quetta_TrendGPT를 포함해 최신 AI 기술이 반영된 업종별 생성형 AI 서비스들을 상용화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는 약 1,800억 건으로 국내 최다 수준이며, 산업 및 업무별로 특화된 AI 분석 모델은 900개 이상으로 다양한 산업ㆍ업종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IT/방송이슈] 밀크 X 갤럭시(Galxe), 웹3 생태계 확대 위해 협업 外
기사입력:2025-04-23 10:22:1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46.30 | ▲23.97 |
코스닥 | 729.69 | ▲3.61 |
코스피200 | 336.87 | ▲3.1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528,000 | ▼73,000 |
비트코인캐시 | 538,500 | 0 |
이더리움 | 2,592,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00 | ▲10 |
리플 | 3,158 | ▲2 |
이오스 | 1,017 | ▲7 |
퀀텀 | 3,380 | ▼1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28,000 | ▼164,000 |
이더리움 | 2,590,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00 | ▼20 |
메탈 | 1,283 | ▼7 |
리스크 | 783 | ▼9 |
리플 | 3,158 | ▲4 |
에이다 | 1,034 | ▼1 |
스팀 | 217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90,000 | ▼70,000 |
비트코인캐시 | 538,500 | ▼1,000 |
이더리움 | 2,593,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850 | ▲10 |
리플 | 3,159 | ▲5 |
퀀텀 | 3,419 | 0 |
이오타 | 313 | 0 |